제2회 친족성폭력피해자 생존기념축제 <생존자랑대회> 연대발언 (성소수자부모모임 대표 하늘)

 

안녕하세요, 저는 성소수자부모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는 하늘이라고 합니다.
만나뵙게 되어 매우 반갑습니다.

저희가 공폐단단과 처음으로 인연을 맺게 된 것은, 작년 11월에 있었던 축제 <죽은 자가 돌아왔다>에서였습니다. 공폐단단의 한 활동가분께서 먼저 손 내밀어주신 인연으로 축제에 초대받았고, 현장에 함께하며 저희도 모르게 그만 퀴어문화축제에서나 했던 프리허그를 몇 참가자분들과 나누었습니다. “괜찮지 않아도 괜찮습니다” “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합니다” 우리가 성소수자들에게 하던 말들을, 이곳에서도 어느새 하고 있었습니다. 너무 미안하고 또 고맙고 반가웠습니다.

저희로서는 여러분이 겪고 감내해온 고통을 감히 헤아릴 수 없습니다. 하지만 여러분과 우리가 오늘날까지 쭉 생존해내어 왔다는 것, 그것만큼은 축하와 격려를 받아 마땅한 일이라는 것은 분명 알고 있습니다. 너무 많은 죽음을 목도해왔고 무력감과 번뇌에 사로잡히기도 했지만 그래도 함께 살아내어 온 동료들과 연대자들 덕분에 우리는 오늘날까지 살아낼 수 있었습니다.

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, 엄연히 존재하지만 유폐되고 있는 이 사회의 불평등과 폭력을 우리의 용기와 연대로 끊어낼 수 있다는 것을 이 자리에서 다시금 되새깁니다.

괜찮지 않아도 괜찮습니다. 그저 살아 있기만 해도 충분합니다. 다시 한 번 축하합니다.

우리, 서로의 곁이 됩시다. 성소수자부모모임은 여러분의 가장 든든한 곁들 중 하나가 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
 

2022.10.29

51 [성소수자부모모임 성명] 살아 있자, 누구든 살아 있자 – 트랜스젠더 동료 시민, 인권활동가 김기홍과 은용 그리고 육군 변희수 전 하사의 죽음 앞에서 2021.03.04
50 [성명서] 혐오의 얼룩을 무지갯빛으로 – 열일곱 살 생일을 맞은 퀴어문화축제를 환영해요 2016.06.08
49 [기자회견 발언문] 차별금지법 반대하는 문재인과 민주당을 규탄한다! +1 2017.02.16
48 [성명] 육군은 군대 내 성소수자 인권 탄압과 차별을 즉각 중단하십시오! 2017.04.15
47 [기자회견 발언문] 퀴어는 어디에나 있다. 트랜스젠더는 어디에나 있다 - 대구 (위니) 2021.03.31
46 [성소수자부모모임 성명] 인권의 가치 실현이 진정 나라와 국민을 수호하는 것 - 트랜스젠더 변 하사 강제 전역 조치에 부쳐 2020.01.23
45 [발언문] 2022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 <우리 모두의 안전한 일상을 위하여> 행진 중 발언 (나비, 2022.11.19) 2022.11.22
44 [성명서] 성소수자의 부모와 가족들은 퀴어문화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원합니다 2016.05.12
43 [발언문]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'부모'로서 조언합니다. 2021.05.24
42 [발언문] 차별금지법이 가톨릭교회의 신앙과 윤리관에 반한다는 염수정 추기경님께 전합니다. 2021.05.24
41 [추모 성명] 변희수의 내일을, 우리의 오늘을 함께 살아갑시다. - '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의 복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' 추모 성명 - 2021.03.05
40 [발언문] 차별을 끊고 평등을 잇는 2022인 릴레이 단식행동 <평등한끼> 무지개행동 주관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 집회 발언 (비움, 2022.03.31) 2022.03.31
39 [공동성명]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기꺼이 살고 싶다. 차별금지법 제정하라! 2021.05.14
38 [연대] 이태원 참사 피해자 명단 공개에 대한 인권단체 입장 (2022.11.16) 2022.11.16
37 이동환목사님을 지지하는 기도회 연대발언 2020.08.07
36 [발언문] “한국 국회의 동성혼 법제화 법안 최초 발의” - 국회 본관 계단 앞에서 가족구성권 3법 발의 기자회견 (하늘, 2022-05-31) 2023.06.01
35 [논평] 정치에 희망이 있다 말하려면 차별금지법 제정하라 - 차별금지법제정연대 (2022.03.11) 2022.03.11
34 [발언문] 미투가 바꿀 세상, 우리가 만든다! - 517분 이어말하기 인천행동 2018.05.17
33 [성명] 트랜스젠더 가시화의 날을 맞이하며 2022.03.31
32 [성소수자부모모임 기자회견 발언문] 살아 있자, 누구든 살아 있자 2021.03.08